[데이터베이스시스템] 트랜잭션
트랜잭션의 이해 데이터 동시 접근 시 동일 데이터에 다수 사용자의 접근 허용 시 일관성이 훼손되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
트랜잭션의 이해 데이터 동시 접근 시 동일 데이터에 다수 사용자의 접근 허용 시 일관성이 훼손되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
정적 해싱 해시 탐색키에 산술적인 연산을 통해 버킷의 주소를 계산하는 해시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배분 및 접근하는 기법 버킷 한개 이상의 레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의 단위 크기는 일반적으로 디스크 ...
인덱스의 이해 인덱스의 개념 데이터 검색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적인 데이터 입출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 인덱스 : DBMS에서 요청된 레코드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이터와 관련된 부가적인 구조 인덱싱 : 인덱스를 구성하고...
물리적 저장장치 구성 데이터 접근 속도, 용량을 기준으로 다양한 장치로 구성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 메인 메모리 / 캐시 / 레지스터 좌측에 있는 순서대로 저장용량이 큼 ...
집계함수 특정 컬럼에 집계함수를 통해 다양한 통계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SELECT 절 또는 HAVING절에 기술 COUNT : 컬럼에 있는 값들의 개수 SUM : 컬럼에 있는 값들의 합 AVG : 컬럼에 있는 값들의 평균 MAX : 컬럼에서 가장 큰 값...
함수적 종속성 정의 릴레이션 인스턴스를 분석하여 속성들 간의 연관관계를 표현한 것 릴레이션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좋은 릴레이션으로 변환하는데 이용되는 중요한 개념 {결정자} → {종속자}
DML : 데이터 조작 언어 정의된 테이블에 레코드를 삽입,수정,삭제 및 검색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의 집합
SQL의 개요 SQL은 관계대수에 기초하여 RDBMS의 데이터 관리를 위해 설계된 언어 1986년 ANSI, 1987년 ISO에서 표준으로 제정 비절차적(선언형) 언어, 필요한 데이터만 기술 인간의 언어와 매우 유사하고 간단, 명
릴레이션 레코드의 유일성 : 중복된 레코드의 존재 불가능 레코드의 무순서성 : 레코드의 순서는 의미가 없음 컬럼의 무순서성 : 컬럼은 순서가 없고, 이름과 값의 쌍 컬럼의 값의 원자성 : 모든 값들은 나눌 수 없는 단 하나의 의미
데이터 베이스 모델링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하고 데이터와 관여하는 업무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분석하는 과정 데이터 모델 : 의미 데이터 타입, 연산 등을 명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개념들의 집합 데이터 모델링 : 실세계의 일부분을 DBMS가 지원하는 데이터 모...
데이터 : 어떠한 사실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값과, 값에 대한 설명 데이터베이스 : 특정 기관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성, 저장, 관리, 사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데이터 모델링 현실 세계를 단순화 하여 표현하는 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