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와 변수

자료형

  •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자료의 형태
    • 상수와 변수로 구분하여 사용
  • 프로그램에서 자료 처리를 위해서는 자료의 생성과 저장, 처리과정이 필요
  • C 프로그램은 수많은 명령어와 자료들로 구성
    • 이들 자료의 정확한 처리와 효율적인 활용이 필요
  • C 언어는 여러가지 종류의 자료형을 지원

상수

  • 항상 고정된 값을 갖는 자료
  • 값이 한번 정해지면 프로그램 도중 그 값을 변경할 수 없는 수

  • 정수형 상수
    • 10진 상수 : 0~9까지의 숫자를 사용하며 0으로 시작할 수 없다
    • 8진 상수 : 0~7까지의 숫자를 사용하며 숫자 앞에 0(영)을 붙인다
    • 16진 상수 : 0~9과 A부터 F까지의 알파벳을 사용하며 숫자 앞에 0x나 0X를 붙인다
    • unsigned형 상수 : 부호 헚는 상수를 표현하며 숫자 뒤에 u나 U를 붙인다
    • long형 상수 : 큰 길이의 정수를 표현하며, 숫자 뒤에 I나 L을 붙인다

  • 실수형 상수
    • 부동소수점 형 상수
    • double형을 기본 자료형으로 사용
    • 소수형식 : 소수점을 사용하여 표현
    • 지수형식 : 10진수와 e(E)를 사용하여 표현

  • 문자형 상수
    • 단일 인용부호(‘‘)로 묶여 있는 1개의 영문자나 숫자문자
    • 내부적으로는 해당문자의 ASCII 코드값이 사용 (ex ‘A’==65)
    • Escape 문자 : 키보드에 나타나 있지 않은 문자

  • 문자열 상수 등
    • 이중 인용부호(““)로 묶여 있는 복수개의 영문자나 숫자
    • 기억공간에 보관될 때는 문자열 끝에 null문자(\0)가 추가

변수

  • 변할 수 있는 값
  • 프로그램에서 변수는 프로그램 실행 도중 변할 수 있는 값이 저장되는 기억공간을 의미
  • 예를 들어 i=10;은 i는 변수(명)이고, 10이란 값을 i라는 이름으로 정의된 기억공간에 저장한다는 의미
  • 변수 속에 들어가는 값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
  • 변수는 사용 전에 반드시 선언하여 컴파일러가 기억공간에서 일정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변수의 특징
    • 모든 변수는 이름이 있다 (변수명)
    • 모든 변수는 정해진 자료형이 있다

  • 변수명의 정의 규칙
    • 변수명은 반드시 영문자나 밑줄(_)로 시작해야 한다
    • 변수명은 중간에 숫자, 밑줄(_)을 섞어서 명명할 수 있다
    • 변수명은 중간에 밑줄(_) 이외의 특수문자($, #, ?, …)를 섞어서 명명할 수 없다
    • 변수명은 대,소문자를 구별하여 사용한다
    • 변수명으로 예약어들은 사용할 수 없다

자료형과 변수 선언

  • 변수
    • 자료를 저장할 기억공간을 확보하고 이 공간에 이름을 붙여준 것
  • 변수 선언
    • 확보된 기억공간에 이름을 부여하는 것
  • 위와 같은 변수 선언을 위해 자료형이 필요

자료형의 종류

  • 기본형
    • 정수형 : int, short, long, unsigned
    • 실수형 : float, double, long double
    • 문자형 : char, insigned char
    • 열거형 : enum
    • 형 없음 : void

  • 확장형
    • 배열형
    • 함수형
    • 포인터형
    • 구조체

변수 선언

  • 변수명과 변수가 가질 자료형을 지정하여 변수를 위한 기억공간을 할당하는 것
  • 형식 : 자료형 변수명;

  • 변수 선언 시 고려 사항
    • 변수에 저장될 값의 크기 (범위)
    • 변수의 선언 위치
    • 변수의 초기화

선행 처리기

  • 컴파일에 앞서 프로그램 선두에 선언된 지시자들을 미리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

  • 선행처리기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

    • 반드시 #으로 시작해야 한다
    • 명령문 끝에는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다.
    • 한 줄에 하나의 명령만 쓴다
    • 소스 프로그램의 첫 부분에 위치한다

선행처리기의 종류

| 선행처리기 | 기능 | |–|–| | #include | 파일 포함 | | #define | 매크로 정의 | | #if #else #elif #endif | 조건부 컴파일 |

#include

  • #include는 C언어에서 제공되는 헤더파일(*.h)을 자신의 소스파일에 읽어 들여 함께 컴파일 하고자 할 때 사용
  • C프로그램에서 표준함수인 printf(), scanf() 등을 사용하려면 이 함수들의 원형(prototype)이 선언되어 있는 표준 입출력 헤더파일인 stdio.h를 #include 시켜야 함

  • 형식 : #include <파일명>
    • ex) #include , #include "stdio.h"

  • 기능
    • #include 다음에 제시된 파일을 현재 프로그램에 포함시킨다.
    • <파일명>은 표준 디렉토리(보통 include 디렉토리)에서 파일을 찾아 포함
    • “파일명”은 현재 사용 중인 디렉토리나 지정된 디렉토리에서 파일을 찾아 포함하며, 또는 드라이브나 경로를 사용

#define

  • #define는 매크로를 정의할 때 사용

  • 매크로(macro)
    • 선행처리기 #define을 사용하여 단순 치환되는 자료
    • 프로그램 작성 시에 명령이나 수식 또는 상수값이 자주 사용될 때 이들을 대표하는 이름을 붙여 사용하는 대상

  • 매크로 상수 정의
    • 형식 : #define 매크로명 자료, #undef 매크로명
      • ex) #define PI 3.141592 (프르그램 내 PI는 3.141592로 치환)
    • 기능 : 프로그램에 나오는 매크로명을 지정한 자료로 치환한 후 컴파일(#define), 또는 정의를 해제 (#undef)

  • 매크로 함수 정의
    • 형식 : #define 매크로명 (인수) (수식), #define 매크로명 (인수, 인수) (수식)
      • ex) #define AREA(x) (3.141592(x)(x)), #define HAP(a, b) (a+b)
    • 장점 : 선행처리기에 의한 단순 치환 방식이므로 전달 인자의 자료형을 명시할 필요가 없고, 또 어떠한 자료형 변수를 인자로 전달해도 잘 동작함. 한 두 줄의 코드인 경우 함수로 정의하는 것보다 속도가 빠름

#if #else #elif #endif

  • 조건부 컴파일
  • 조건에 따라 프로그램을 컴파일하는 명령
  • 최적의 코드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성능 향상
  • #if와 #elif 다음에는 컴파일 여부를 결정하는 조건문 필요
    • 조건문은 선행처리과정에서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함
    • 변수 지정이나 함수 호출 불가
    • 주로 매크로 값 사용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