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구조] 처리장치 -4
제어단어
-
제어변수(선택신호)들의 묶음
- 선택신호
- 처리장치내에서 수행되는 마이크로 연산을 선택하는 변수
- 처리장치의 버스, ALU, 쉬프터, 도착 레지스터 등을 제어
- 선택신호 즉, 제어변수가 특정한 마이크로 연산을 선택
- 이러한 제어변수들의 묶음을 제어단어라 함
- 처리장치내에서 수행되는 마이크로 연산을 선택하는 변수
- 제어단어를 살펴보기 위해 예를들어 처리장치의 구성이 다음과 같다고 가정
- 레지스터 세트 : 7개의 레지스터(R1~R7)
- 산술논리연산장치 : 12가지 연산을 수행
- 시프터 : 6가지 연산을 수행
- 레지스터 세트 : 7개의 레지스터(R1~R7)
- A필드 : ALU로 입력되는 A버스 선택 (3비트, 8가지 공간)
- B필드 : ALU로 입력되는 B버스 선택 (3비트, 8가지 공간)
- D필드 : 도착 레지스터 선택 (3비트, 8가지 공간)
- F필드 : ALU의 연산 선택 (4비트, 12가지 연산)
-
H필드 : 쉬프터의 연산 선택 (3비트, 6가지 연산)
-
전체 16비트로 구성된 선택신호들의 모임(제어단어)을 처리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가하면 해당 마이크로 연산이 수행됨
- 제어단어의 내역표 (예)
- 제어단어 생성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
- 작성된 제어단어를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기억장치의 출력을 처리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선택신호로 연결
- 이렇게하면 기억장치로부터 연속적인 제어단어를 읽음으로써 처리장치에서의 마이크로 연산이 정해진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 제어장치의 역할
- 작성된 제어단어를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기억장치의 출력을 처리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선택신호로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