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과학개론] 운영체제 -8
파일 관리
구성 요소
- 파일 관리 시스템은 운영체제의 주요 구성 요소로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요소를 포함함
-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 방식
- 파일의 저장, 참조, 공유 및 파일 보호 기법을 제공하는 파일 관리
- 보조 기억장치에 파일 저장을 위한 공간 할당과 관련된 보조 기억장치 관리
- 파일의 정보가 소실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일에 관계된 파일 무결성 유지
-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 방식
접근 방식
- 일반적으로 접근 방식은 순차 접근과 직접 접근으로 나눌 수 있음
- 이에 따른 대표적인 파일 구조로는 순차 파일과 직접 파일이 있음
-
인덱스 순차 파일은 순차 처리와 직접 처리가 모두 가능한 구조를 가짐
- 순차파일
- 순차 파일은 레코드들의 저장이 연속적인 물리적 위치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파일 형태
- 논리적으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레코드들은 물리적으로도 연속적인 위치에 저장됨
- 순차 파일은 일반적으로 키 값에 따라 일정한 순서를 유지하며 저장됨
- 한 레코드에 접근하기 위해서, 그 레코드의 앞에 있는 레코드들을 먼저 접근해야 함
- 물리적으로 순차적인 접근 특성을 가진 자기 테이프에 가장 많이 이용됨
- 순차 파일은 레코드들의 저장이 연속적인 물리적 위치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파일 형태
- 직접 파일
- 레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장치의 물리적 주소에 의해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구조의 파일 형태임
- 다른 레코드를 참조하지 않고 어떤 레코드에도 접근할 수 있음
- 특정 레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레코드 키와 보조기억장치의 저장 주소의 관계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함
- 파일을 구성할 때 레코드 키와 실제 저장 주소 사이의 관계를 찾아낼 수 있는 함수가 필요함
- 함수를 통해 레코드 키를 변환하여 실제 저장된 보조기억장치의 주소를 얻어냄
- 직접 파일은 이와 같은 접근의 효율성을 위해 순차 파일과는 다르게 자기 디스크와 같은 직접 접근 저장장치에 저장함
- 레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장치의 물리적 주소에 의해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구조의 파일 형태임
파일 관리 시스템
- 인덱스 순차 파일
- 레코드 키 값에 따라 정렬된 레코드를 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순차 파일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
- 주어진 키 값에 따라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직접 파일의 특징을 갖는 구조의 파일 형태임
- 순차 접근을 지원하는 순차 파일과 직접 접근을 지원하는 직접 파일을 결합한 형태임
- 인덱스 순차 파일은 순차적으로 정렬된 데이터 영역과 이 영역에 대해 포인터를 가지고 있는 인덱스로 구성됨
- 데이터 영역을 순차적으로 접근할 수도 있고, 인덱스를 통해 어느 특정 영역에 대한 직접 접근을 처리할 수 있음
- 레코드 키 값에 따라 정렬된 레코드를 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순차 파일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