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OSI 3계층의 통신
OSI 3계층의 기능
서로 다른 네트워크 대역 간 어떻게 데이터를 연결하는가
- 3계층은 LAN과 LAN을 연결해주는 역할
3계층 통신
WAN에서 통신할때 사용하는 주소 : IP 주소
3계층에서 사용하는 IP 주소
1-1. IPv4 주소 : 현재의 PC에 할당된 주소
1-2.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에 대한 네트워크의 대역을 규정하는 것
1-3. 게이트웨이 주소 : 외부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출입구
IP주소
일반적으로 말하는 IPv4를 이야기 함
- 처음 만들었을 때는 클래스별로 나누어서 사용했음 (Classful ip)
- 낭비가 심해 개선됨 - 따라서 등장한 것이 서브넷마스크
- 네트워크 대역을 나눠주는데 사용하는 값. IP와 함께 사용함
- 32bit
- 2진수로 표기했을 때 1로 시작. 1과 1사이에는 0이 올수없음. 0이 오면 그 뒤는 쭉 0
→ 하지만 네트워크 장비가 많아지면서 그럼에도 아이피가 부족해짐 - 사설IP / 공인IP 개념 등장
- 현재 사용하고있는 IPv4의 개념
- 사설IP를 사용하고 있는 장비들이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을 할때 무조건 공인IP로 바꿔서 통신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특정아이피를 특정아이피로 바꾸는 기능
- 공인IP 1개당 2^32개의 사설IP
- 외부에서는 공인 IP로만 통신, 사설IP 대역은 보이지 않음. 포트포워딩을 해줘야만 내부로 접근 가능
참고 유튜브 : https://youtu.be/s5kIGnaNFv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