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 히스토리

히스토리 명령

  • 이전에 수행했던 명령 행의 목록을 불러옴
    • history : 1000개가 불러와짐
    • history ‘10’ : 최근 ‘10’개가 불러와짐

  • 히스토리 기능을 이용하여 명령을 실행하는 방법
    • 이전에 수행했던 명령을 이용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음
    • 다음을 입력하고 실행함

입력 방법 설명
!! enter 직전 명령을 실행함
!n enter 히스토리 목록에서 해당 명령을 실행함
!string enter 지정된 문자열로 시작하는 최근 명령을 실행함
↑ 또는 ↓ 누를 때마다 직전 똔느 직후 명령을 불러옴. 편집 가능


  • 명령 행 완성 기능
    • 일부만 입력하고 나머지를 자동으로 완성하는 기능
    • 처음 몇 자만 입력한 후, tab 키를 누르면 실행됨
    •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tab기를 한번 더 누르면 모든 가능 경우를 보여주고 원래의 명령 행이 유지됨

## 명령의 연결과 확장

### 특수문자

문자 의미
백슬래시() 특수 문자의 기능을 제거하는 이스케이프 문자 또는 긴 명령 행을 분리할 때 사용
틸드(~) ~ 또는 ~username은 홈 디렉터리를 의미
도트(.) 현재 작업 디렉터리를 표시 또는 명령 행의 맨 앞에서 셸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source 명령
더블도트(..) 현재 디렉터리의 부모 디렉터리
파운드(#) # 문자의 뒤에 나타나는 문자를 주석으로 처리
달러($) $변수는 변수의 값을 추출
앰퍼샌드(&) 명령&는 명령을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킴
애스터리스크(*) 파일 이름에서 사용할 때 0개 이상의 임의 문자열과 대응됨
물음표(?) 파일 이름에서 사용할 때 1개 문자와 대응됨
파이프(|) 앞 명령의 출력을 다음 명령의 입력으로 연결시킴
< 또는 > 입출력 리다이렉션에서, 즉 파일로부터 입력받을 때 또는 파일로 출력할 때 사용
» 표준 출력을 파일의 끝에 덧붙일 때 사용
느낌표(!) 명령 히스토리 기능을 이용할 때 사용



  • 파이프
    • 앞 명령의 출력 결과를 다음 명령의 입력으로 연결

  • 입출력 리다이렉션
    • 명령 < 파일 : 명령 수행에 필요한 입력을 표준 입력 대신에 파일로 부터 얻음
    • 명령 > 파일 : 명령 수행의 결과를 표준 출력으로 보내지 않고 파일에 기록함
    • 명령 2> 파일 : 명령 수행 중 표준 오류 출력을 파일에 덧붙임

  • 명령 치환
    • 명령을 수행할 때, 명령의 인수로서 다른 명령의 결과를 사용
    • $(command) 또는 `command`

  • 인용 부호
    • 빈칸을 포함하는 문자열을 1개의 인수로 사용할 때 인용 부호가 필요함
    • 작은따옴표(‘‘)는 특수 문자의 의미를 제거함
    • 큰따옴표(““)는 $,``, \, !를 해석하여 확장함
    • 백슬래시()는 $, `, “, ‘, \ 앞에서 특수 문자의 의미를 제거 함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