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착상태의 개요

  • 프로세스의 자원 사용 절차
    • 요구 -> 사용 -> 해제
    • 요구과정에서 가용한 자원이 없으면 자원을 획득할 때까지 대기

교착상태(deadlock)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서로 상대방의 작업이 끝나기만 기다리고 있어, 어느 쪽도 영원히 진행하지 못하는 상태

  1. 교착상태의 필요 조건
    • 상호배제
      • 프로세스가 자원에 대한 배타적인 통제권을 요구
      •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원은 여러 프로세스에 의해 동시에 사용될 수 없음
      • 다른 프로세스가 자원이 필요하면 반드시 대기

    • 점유대기
      • 프로세스가 이미 한 자원을 할당받아 점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른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또 다른 자원을 요구하여 해제되기를 기다리는 상황

    • 비선점
      •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은 그 프로세스가 사용을 마치고 스스로 반환하기 전에는 해제되지 않음
      • 이미 할당된 자원은 타의에 의해서는 해제되지 않음

    • 환형대기
      • 프로세스의 자원 점유 및 점유된 자원의 요구 관계가 환형을 이루며 대기하는 상황

    -> 네가지 조건이 동시에 만족될 때 교착상태 발생 가능

  2. 자원할당 그래프 G = (V, E)
    • V : 정점의 집합 V = P ∪ R
      • P = {p1, p2, … pn } : n개의 프로세스
      • R = {r1, r2, … rn } : n개의 자원
    • E : 방향이 있는 간선의 집합 E = Q ∪ S
      • Q = {(pi, rj) : pi ∈ P, rj ∈ R} : 프로세스 pi가 자원 rj를 요구
      • S = {(rj, pi) : pj ∈ R, pi ∈ P} : 자원 rj가 프로세스 pi에 할당

    • 사이클 없음 -> 교착상태 없음
    • 사이클 있음 -> 교착상태 발생 가능

  3. 교착상태의 처리 기법
    • 교착상태 예방
    • 교착상태의 네가지 필요조건이 동시에 만족되는 것을 피하여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
      - 교착상태 회피
    • 프로세스에 필요한 자원의 최대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
      - 교착상태 탐지 및 복구
    • 교착상태의 발생 여부를 조사하여 발생한 경우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해 정상상태로 복구하는 방법

교착상태 예방

  1. 상호배제 조건 제거
    • 공유할 수 있는 자원 : 상호배제 필요 없음 (예 : 읽기 전용 파일)
    • 공유할 수 없는 자원 : 반드시 상호배제 필요 (예 : 프린터)
      -> 상호배제 조건 제거로 교착상태 예방은 불가

  2. 점유대기 조건 제거
    • 자원을 점유했을 때 대기하지 않아야 함
      • 프로세스가 앞으로 필요한 모든 자원을 처음에 한번에 요구하여 할당 받음
      • 자원 이용률 낮아짐, 기아상태 가능
    • 대기할 때 자원을 점유하고 있지 않아야 함
      • 새로운 자원을 요구할 때 할당받았던 자원을 모두 해제
      • 점유 도중 해제할 수 없는 자원에는 적용 불가

  3. 비선점 조건 제거
    • 선점이 가능하도록 해야 함
      • 자원의 특성에 따라 불가능한 경우 존재
    • 다른 프로세스가 대기할 가능성 줄이기
      • 점유대기 상황이 발생하면 할당받았던 자원을 모두 해제
      • 프린터 같은 일부 자원에는 적용 불가

  4. 환형대기 조건 제거
    • 모든 자원에 일련번호를 지정
    • 함수 f: R → N (R:자원 집합, N:자연수 집합)

    1) 방법1
    - 프로세스는 자원을 요구할 때 일련번호 기준으로 항상 오름차순이 되도록 요구
    - 가장 최근에 할당받은 자원이 ri이면 다음에 요구할 자원 rj는 f(ri) < f(rj) 만족
    2) 방법2
    -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구할 때 그보다 일련번호가 작은 자원만 점유하도록 함
    - 자원 rj 요구하려면 점유 중인 자원 중 f(rj) <= f(ri)인 자원 ri는 모두 해제

    • 점유대기 중인 프로세스는 점유 중인 자원의 일련번호보다 대기중인 자원의 일련번호가 큼
      -> 환형대기 발생 불가
      -프로세스마다 요구순서가 다를 수 있어 자원의 일련번호 설정 어려움

Updated: